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 최초 조류신호기가 있는 무인도 부도 등대

섬과 등대여행/서해안

by 한방울 2010. 10. 21. 17:15

본문

한국 최초 조류신호기가 있는 무인도 부도 등대

[박상건의 섬과 등대이야기 77]

오리가 낮잠을 즐기는 영흥도 앞 부도를 찾아서 

 

 

 

 

영흥도 방면에서 바라 본 부도(상)와  부도등대로 가는 길

 

인천 영흥도에서 배를 타고 30분 정도 걸리는 부도. 무인도인 이 섬은 물오리가 두둥실 떠서 낮잠을 즐기는 모양새여서 ‘오리 부(鳧)’자를 따서 부도라고 부른다. 도깨비가 많다고 하여 도깨비 섬이라고 불렀을 정도로 뭍으로부터 오랫동안 외롭게 떠 있는 섬이다. 도깨비를 쫓기 위해 도깨비가 싫어한 피(血)와 소금(鹽)을 섞는다는 뜻의 피염도라고도 불렀다.

 

사람이 살지는 않지만 인천항 관문에 위치하고 있어 106년 전에 이미 등대를 설치했다. 작은 섬이지만 갖가지 기록을 갖고 있다. 국내 최초로 불빛을 회전하며 비추는 이곳 등대의 등명기는 국산 프리즘 렌즈를 사용한다. 그 불빛이 자그마치 50km 먼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까지 식별이 가능하다. 그 빛의 힘이 대단하다.

 

 

 

 

행정선에서 보금품을 받는 등대원(상)과 잠시 선착장에 정박 중인 모습(하)  

 

 

또한 부도 앞 바다는 조수간만의 차가 매우 커서 선박운항에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래서 부도등대에는 조류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조류신호시스템이 국내 최초로 설치됐다. 이곳 등대에서는 실시간으로 항해자에게 조류정보를 제공하여 안전운항을 돕고 있다.

 

부도등대 김신철 소장은 “무인도지만 그 위치의 중요성에 걸맞게 항로표지의 주요기능인 빛의 파장, 전파의 세기, 소리 파장의 크기가 완벽한 3박자를 갖춘 등대를 보유한 아주 유서 깊은 섬”이라고 말했다. 부도등대 높이는 15.2m, 등대 불빛은 15초에 한번 씩 반짝인다.

 

그날 등대로 가는 날은 인천지방항만청 행정선이 부도에 근무 중인 등대원들에게 식량 등 보급품을 전달하러 가는 날이었다. 보급품이 선착장에 당도하자 미리 나와 기다리던 등대원들은 보금품을 받아 모노레일을 타고 등대 창고로 향했다.

 

 

 등대원이 모노레일로 보급품을 등대로 옮기는 모습 

 

등대 생활도 많이 변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등대원들은 무거운 식량과 축전지 등 보급품을 전달받아 지게에 짊어지고 먼 산길을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육체적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 기상악화로 배가 오지 못하는 날을 위해 텃밭을 일구고 바다에서 해산물을 채취해 말리며 자급자족을 대비해야 했다. 세월이 흘러 등대의 조형미가 예술적으로 승화하고 감상의 포인트가 되었다. 국민 눈높이만큼 등대도 선진국 수준으로 높아졌다. 등대 소재와 작동 시스템이 독일과 일본 수입에서 탈피해 순수 국산 기술로 가능해졌다.

 

아무튼 100년 전통을 넘긴 부도등대 앞에서 엄숙하고 경건해진 이유는 무엇일까. 절대고독의 상징처럼 늘 그 자리에 서서 무조건적 사랑을 베풀고 전지국적인 소통을 지향하는 등대정신을 아로새겼다. 부도 등대는 깎아지른 해안절벽에 서 있다. 절벽은 원시의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런 험난한 지형을 극복하고 나면 등대 앞마당만은 가슴 시원한 수평선처럼 평화롭다. 푸른 잔디와 원두막 쉼터가 조성돼 흰 원형석조 등대와 조화를 이뤄 한 폭의 풍경화이다.

 

이곳에서 내려다 본 서해바다 전경이 일품이다. 계곡물처럼 흐르는 등대 아래 바다에는 작은 등대인 부도 동방부표가 가장자리에 서있다. 오고가는 배들의 안전한 이정표 역할을 한다. 그 부표 너머로 먼 바다가 그림처럼 펼쳐진다. 그래서 많은 낚시꾼과 보트 동호회 회원들이 등대 아래 선착장까지 다가왔다가 한 바퀴 돌다가 돌아가기도 한다.

 

 

 

 이병곤 사무관과 김신철 소장이 주변 항로표지를 둘러본 모습(상)과 부도등대(하) 

 

팔각정 쉼터는 2층으로 만들어져 있었다. 시인묵객들이 목침 베고 하룻밤 묵으며 시를 읊조리고 그림을 그리고 잔디마당에서 한 판 춤을 추고 판소리 한 마당, 하모니카와 기타 연주를 하면서 무인도 추억을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생각을 독백처럼 털어내자 인천항만청 석영국 과장은 “내친 김에 한번 하죠. 섬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오면 고독한 부도와 등대도 더 좋아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렇게 인천지방해양항만청과 섬문화연구소는 10월30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10월의 마지막 밤을 무인도에서 보내기로 했다. 깊어가는 가을밤을 무인도 등대 아래서 등대사랑과 등대정신을 음미하는 해양체험을 해볼 날에 가슴 설레며 부도를 떠났다.

 

 부도의 적막한 바닷가

 

배가 떠나면서 섬도 다시 멀어져 갔다. 인간도 섬도 영원한 만남을 지탱하지 못한 운명을 탔다. 그러기에 아등바등 각진 삶에 허덕이지 말고 각진 절벽에는 꽃 피고 열매 맺는 숲을 키우고 먼 바다에는 누구에게나 빛과 사랑을 베푸는 등대처럼 오늘 인연을 소중히 간직하고 자연의 소소한 것까지 모두 사랑해야 함을 깨닫는다. 평온한 바다에 포말이 일어 그런 생각의 갈피가 일렁였고 다시 먼 바닷길로 파도는 드러누웠다.    * 이 글은 오마이뉴스에도 실렸습니다.

 

* 무인도 부도 등대 캠프 희망자는 참가비 10만원을 섬문화연구소 입금계좌로 입금하면 선착순 마감한다. 

                 국민은행: 010901-04-153546(예금주 사단법인 섬문화연구소) 문의: 02-720-712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