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풍경이 있는 아침] ⑭ 신경림, ‘목계장터’
하늘은 날더러 구름이 되라 하고
땅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네.
청룡 흑룡 흩어져 비 개인 나루
잡초나 일깨우는 잔바람이 되라네.
산은 날더러 들꽃이 되라 하고
강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산서리 맵차거든 풀 속에 얼굴 묻고
물여울 모질거든 바위 뒤에 붙으라네.
하늘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고
산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신경림, ‘목계장터’ 중에서
1979년 시집 「새재」에 실린 이 시는 4음보 민요가락에 3음보 가락을 적절하게 배치한 민요풍의 걸작이다. ‘하고’, ‘하네’, ‘라네’ 등 반복적 리듬은 시에 생동감을 더한다. 이런 리듬을 가진 시가 박목월 시인의 ‘산이 날 에워싸고’라는 시이다. “산이 날 에워싸고/씨나 뿌리며 살아야 한다/밭이나 갈며 살아라 한다”, “흙집 안팎으로 호박을 심고/들찔레처럼 살아야 한다/쑥대밭처럼 살아라 한다”, “구름처럼 살아야 한다/바람처럼 살아라 한다”.
목계장터는 충북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 남한강 나루터에 있었다. 대단히 번창했던 장터다. 하늘과 땅은 “날더러 구름이 되라 하네” “바람이 되라 하네” 동쪽 방위 기운을 상징하는 청룡과 흑룡은 흩어져 비 개인 나루에서, “잡초나 일깨우는 잔바람이 되라 하네” 떠돌이, 방랑자의 삶이 운명이다.
다시, 산과 강은 “들꽃이 되라 하고”, “잔돌이 되라 하네”. ‘들꽃’과 ‘잔돌’은 나약한 민중을 의미하고 길 뜬 삶을 살다가 어느 길모퉁이, 어느 동네에 정착할 수밖에 없는 이 풍진 삶을 어찌하랴. 삶의 푸념이요 하소연이다. 민중의 삶이란 늘 그런 것 아닌가. 그런 세상을 헤쳐 나가야 하고, 세찬 물길에 돌처럼 견디면서 정착해야하고 목숨 부지하는 양면의 삶...
그래서 “산서리 맵차거든 풀 속에 얼굴 묻고/물여울 모질거든 바위 뒤에 붙으라”라고 한다. 어쨌든 처자식과 함께 살아가야 하니 말이다. 현실의 어려움을 지혜롭게 넘기며 살라는 것이다. 그렇게 떠남과 정착의 삶을 살아가는 민중의 애환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는 토속적 시어로 향토적 삶의 모습들을 생생하게 되살려냈다. 박진감을 넘치는 4음보 리듬을 타고가다 보면 어느새 가슴 속에서 뜨거운 징소리가 울린다. 잠시, 그 울림 잦아들면 가슴이 먹먹해지고 슬퍼지고 아픔이 저려온다. 우리네 삶이란 그런 것이다.
글, 사진: 박상건(시인. 동국대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
[시와 풍경이 있는 아침] 16 나희덕, ‘빗방울, 빗방울’ (0) | 2018.12.14 |
---|---|
[박상건의 시와 풍경 있는 아침] 15 박남철, ‘들판에 서서’ (0) | 2018.12.07 |
박상건, ‘매생이국이 파도소리를 퍼 올리다’ (0) | 2018.11.15 |
[시와 풍경이 있는 아침] ⑫ 박재삼, ‘울음이 타는 가을 강’ (0) | 2018.11.11 |
[박상건의 시와 풍경이 있는 아침] ⑪정호승, ‘기쁨이 슬픔에게’ (0) | 2018.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