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위클리공감-박상건의 섬이야기 ⑦ 인천 부도등대(도깨비섬)

섬과 등대여행/서해안

by 한방울 2018. 4. 16. 16:56

본문


등대로 가는 길(사진=박상건)


부도등대 전경(사진=박상건)


무인도 부도 선착장에 도착한 보급선(사진=박상건)


[위클리공감-박상건의 섬이야기 인천 부도등대

물오리가 두둥실 낮잠 자는 도깨비섬

 

옹진군에 딸린 섬 가운데 유일하게 승용차로 건너갈 수 있는 면소재지의 섬이 영흥도다. 영흥도에서 사선을 타고 30분 정도의 거리에 무인도인 부도가 있다. 정기노선이 없는 섬이지만 수많은 배들이 에워싸고 있는 것을 보면 분명 애사롭지 않다. 부도는 인천항의 관문이자 수도권에서 가까운 유명한 낚시 포인트라서 이러 저래 선박들이 몰려든다.

 

해양항만청에서 운항하는 표지선은 바다의 신호등 역할을 하는 항로표지, 즉 등대를 수선하고 관리하면서 인근 등대가 있는 섬에 보급품을 내려준다. 보급품은 등대에서 사용하는 축전기와 전기제품과 식자재와 생활용품 등이다. 이렇게 등대를 관리하면서 운항하는 표지선을 보급선이라고 부르는데 승봉도, 부도, 선미도로 항해하는데 승봉도에서는 40분이 걸린다.

 

부도는 옹진군 영흥면 외리 산 272번지에 있다. 면적은 13,885, 인천항에서 42.2km, 영흥도에서는 11.8km 거리에 있다. 물오리가 두둥실 떠서 낮잠을 즐기는 섬 모양이어서오리 부()’자를 따서 부도라고 부른다. 도깨비가 많다고 하여 도깨비 섬이라고 불렀을 정도로 뭍으로부터 오랫동안 떨어져 있던 섬이다.

 

섬은 파도에 깎인 파식대와 해식애가 발달해 주변 장관이 아름답고 다양한 해조류가 서식하여 보존가치가 높다. 섬의 앞뒤로 자갈해안이 있다. 이곳에 게와 갯지렁이가 많고 우럭과 노래미 포인트다. 섬은 파도에 깎인 해식동굴이 많고 이런 곳에 물고기가 많아 어선과 낚싯배들 역시 섬에 바짝 붙어 낚싯줄을 풀고 있다.

 

부도에는 1등급 특정식물로 지정된 갯장구채, 장구밤나무, 피나무, 찰피나무, 보리밥나무, 갯메꽃, 해국, 두루미천남성이 분포한다. 해안지표종으로 분류되는 곰솔, 소사나무, 갯방구채, 장구밤나무, 보리밥나무, 해국 등이 서식한다. 특히 등대 주변 해안에는 한국고유생물인 개나리, 희귀식물인 두루미천남성이, 선착장에서 등대로 이어지는 절벽에는 칡 군락지와 원추리, 닭의장풀, , 머위, 해국, 개망초, 억새가 암벽을 타오르며 산다.

 

등대로 가는 길은 왼편은 오솔길이 있고 오른쪽 해안가엔 모노레일 길이 있다. 인천지방해양항만청 표지선이 식량 등 보급품을 선착장에 내려두면 마중 나와 있던 등대원들은 이 모노레일을 타고 등대 창고로 물건을 옮긴다.

 

부도 등대는 1904년 석조 원형의 하얀 등탑으로 설치했다. 돌을 만든 등대 조형미는 말 그대로 예술작품이다. 그렇게 11년 동안 거센 풍파를 이겨내고 인천항의 관문을 지키고 있다. 부도 등대는 높이 15.2m에서 50km의 먼 바다까지 비추는데 15초에 한번 씩 불빛이 쏜다.

 

부도 등대는 국내 최초로 빛을 회전하며 비추는 국산 프리즘 렌즈를 사용한 등명기를 탑재했다. 또한 물살이 거세고 조수간만의 차가 매우 커서 조난사고 등의 악조건 지형을 극복하기 위하여 등대로부터 3km 전방의 조류측정기를 통해 선박에게 변침지시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이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탓에 부도에는 등대 앞 절벽 위에 조류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하는 국내 최초로 조류신호시스템이 설치됐다. 등대에서는 365일 실시간으로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조류정보를 제공하여 계곡물처럼 흘러가는 조류 해역을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부도 등대에서는 2007714일 조난사고자를 구출하기도 했다. 승봉도 피서객 4명은 밤 10시경 고무보트로 낚시를 하던 중 방향감각을 잃고 모터보트까지 고장이 나서 칠흑의 밤바다를 7시간 동안 표류했다. 그러다가 등대 불빛을 발견하고 불빛을 따라 이동해 다음날 새벽 2시경 부도등대에 도착했다. 등대원들은 일행들에게 잠자리와 식사를 제공하고 배를 구해 승봉도 가족 품으로 무사히 귀환시켰다. 부도 등대원들의 구조 소식은 이들이 정부 홈페이지에 감사의 글을 올리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등대에서 내려다 본 서해바다 풍경은 일품이다. 급류해역 가장자리를 지키는 무인 등대인 동방부표는 오고가는 배들의 이정표 역할을 하면서 멀리서 보면 한 폭의 그림이 된다. 그 부표 너머로 수평선과 푸른 섬들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낚시꾼과 물살을 가르며 달리는 보트 동호회 회원들의 모습도 영화 속의 파노라마 같다.

 

등대 앞마당의 팔각정 쉼터는 2층으로 만들어져 있다. 시인묵객들이 목침 베고 하룻밤 묵으며 시를 읊조리고 그림을 그리고 잔디마당에서 한 판 춤을 추고 판소리 한 마당, 하모니카와 기타 연주를 하면서 무인도 추억을 만들곤 했다. 그렇게 등대원과 시인 예술인들이 어우러져 무인도 등대여행을 했다. 등대는 그저 불을 밝히는 기기만이 아니다. 빛은 깊어가는 밤일수록 빛난다. 등대는 누군가에게 말없이 밤바다의 아름다운 동행자가 되어준다. 등대는 이런 등대사랑과 등대정신을 음미하는 심신 수련장이자 인문학의 보고이기도 하다.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