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마을해변(사진=박상건)
상주해변(사진=박상건)
창선도 지족죽방렴 노을(사진=박상건)
창선도 멸치(사진=박상건)
[위클리공감-박상건의 섬 이야기] ④ 남해도
봄날 남해도에 꼭 가야하는 이유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썩은 물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이성부 ‘봄’ 중에서)
그렇게 봄이 왔다. 남녘의 봄은 제주도, 청산도를 거쳐 한려수도에서 눈부시게 출렁인다. 한려수도는 한산도에서 여수 사이 물길을 말한다. 한산도에서 거제도, 남해도, 여수 앞 바다의 해상을 한려해상, 한려해상국립공원이라고 부른다. 78.9㎢에 이르는 청정해역 한려해상에는 120개의 크고 작은 섬들이 수려한 바다풍경의 진면목을 연출한다.
찬란한 남해의 봄은 그렇게 드넓은 한려해상을 흔들어 깨우고, 햇살에 멍석을 말 듯 파도가 쪽빛바다를 공그르면서 눈부시게, 눈부시게 해안가로 물결쳐 온다.
남해도는 창선삼천포대교, 창선교, 남해대교 등 3개의 다리로 섬과 뭍으로 연결되었다. 남해도는 조도, 호도, 노도 등 유인도 3개, 무인도 76개로 이뤄져 있다. 302㎞에 달하는 굴곡진 해안선은 일직이 이순신장군이 해안지형을 활용해 왜적을 대파했듯 역사의 그 숨결과 유적지가 남아있다.
이런 리아스식 해안일수록 어족자원이 풍부하고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고기잡이와 양식업에 종사한다. 다양한 물고기가 서식해 강태공이 몰리고 꼬불꼬불 섬 모롱이는 그대로 여행자들에게 전망 포인트가 된다. 그래서 남해도 여행은 해안일주도로 드라이브와 걷기여행 코스로 제격이다. 햇살이 부서지는 푸른 바다풍경은 그대로 한 편의 영화이고 한 폭의 그림이다. 낚싯배와 함께 유유자적하는 강태공과 울긋불긋 양식장과 미끄러져가는 어선들, 섬 모퉁이를 돌아설 때마다 마주하는 아담한 해변은 남해도에서 감동하는 대표적 파노라마다.
남해도는 본섬과 창선도로 이뤄졌다. 남해군은 행정구역 단위인 ‘군’자를 붙여 남해군으로 부르지만 우리나라에서 다섯 번째로 큰 섬이다. 남해도 여행코스는 동서로 나뉜다. 서쪽은 몽돌과 백사장, 기암괴석의 푸른 바다를 조망할 수 있고, 동쪽 창선도는 갯벌과 어촌풍경이 일품인데, 여행자는 마을과 바다를 낮게 수평을 이루며 아름다운 동행을 한다.
일직이 섬사람들은 협소한 땅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계단식 논밭을 일구며 살았다. 특히 남해도는 섬 가운데 산이 가장 많아 이런 논밭이 많다. 영화 촬영지 다랭이마을이 대표적이다. 조상들은 산지에 한 뼘의 농토라도 더 얻고자 산비탈을 깎아 계단식 밭을 만들었다. 평산항에서 사촌해변에 이르는 다랭이지겟길에서 해안으로 내려가 파도를 동무삼아 걷다보면 맑고 푸른 바다풍경에 푹, 빠질 수밖에 없다.
이곳에서 산모퉁이를 몇 굽이 더 돌아 내려가면 물건마을이다. 천연기념물 제150호 물건방조어부림이 있다. 해변에는 300년 넘은 1만여 나무들이 숲을 이뤄 풍랑과 해풍으로부터 어선과 어부들을 지켜왔다. 그 위쪽으로 독일마을이 있다. 1960년대 우리네 삶이 팍팍하던 시절에 경제발전의 첨병이었던 간호사 등 독일교포들이 조국에서 평안히 정착할 수 있도록 독일문화와 우리 전통문화를 조화시켜 조성한 아주 이국적인 해양마을이다.
동으로 바다가 열린 창선도는 해안선 길이가 19㎞이고 16개의 마을이 어깨동무하며 산다. 어민들은 바다에서 주로 굴을 채취하고 죽방렴 멸치를 잡는다. 죽방렴은 물살이 빠른 지족해협에 대나무 말뚝을 V자로 박아 물고기들이 빠른 물살에 방향을 잃으면서 두 대나무 사이 길로 빨려 들어가 나오지 못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죽방렴 멸치는 해협의 빠른 물살을 헤치는 활동량 때문에 육질이 쫀득하고 고소하다. 그물을 이용하지 않아 생채기가 없고 뼈째 씹히는 맛이 좋아 일반 멸치와 그 격을 달리한다.
죽방렴 어장은 사천(삼천포)으로 넘어가는 해협에 설치돼 있다. 여행 도중에 누구나 견학하고 기념촬영을 할 수 있도록 쉼터와 포토 존이 설치돼 있다. 강태공들은 이곳을 즐겨 찾곤 하는데 양식장에서 흘러나오는 부유물을 쫒는 물고기들 입질이 그만이기 때문이다. 뗏목낚시도 창선도만의 독특한 낚시방식인데, 창선교 아래가 포인트다. 작은 배를 타고 낚시하는 강태공과 연인들 모습은 그 자체로 이국적이다.
남해도는 그 옛날 외진 섬이었다. 서포 김만중은 노도에서 3년간 유배생활을 하며 사씨남정기와 서포만필을 집필했고 55세에 노도에서 생을 마감했다. 노도는 배를 젓는 노를 많이 만드는 섬이란 뜻이다. 남해유배문학관에는 유배의 절망 속에서 쥐어짠 문학작품과 어명을 받들어 소달구지 타고 압송하는 체험을 4D 입체영상으로 체험할 수 있다.
그렇게 눈부시게 봄 바다가 열리는 남해도. “너를 보면 눈부셔/일어나 맞이할 수가 없다”, 다시 “가까스로 두 팔 벌려 껴안아 보는”, 아, 이 봄날의 아름다운 남해 쪽빛바다여.
박상건(시인. 섬문화연구소장)
봄날 섬진강따라 망덕포구 해안도로 따라 강바람 갯바람 가르며 자전거투어 (0) | 2018.03.15 |
---|---|
전남 완도 신지도 철갑다시마를 아시나요? (0) | 2018.03.13 |
하동 섬진강 꽃길마라톤대회 참가자 접수~봄날 섬진강을 달려보자 (0) | 2018.02.26 |
남쪽바다 완도에 갯벌목장 만든다 (0) | 2018.02.20 |
거제 포로수용소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포로, 수용소, 사람들’ 사진전 (0) | 2018.02.02 |